Q. 안녕하세요, 도연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레터링 디자이너 김도연이라고 합니다.
Q. 수상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수상 소감이 궁금해요.
이동 중에 전화를 받았거든요. 순간 ‘산돌에서 전화라니, 내가 구독 중인 서비스에 저작권 문제가 생긴 건가?’ 생각했는데 다행히 수상 소식이었어요. 뽑아주셔서 감사합니다.
Q. 안녕하세요, 도연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레터링 디자이너 김도연이라고 합니다.
Q. 수상 예상하셨나요?
전혀요. 인스타그램에도 작품 의도와 스케치 정도만 올렸지, 스토리도 안 올렸고 링크도 공유하지 않았어요. 홍보를 안 했으니까 기대도 안 했죠. 그래서 더 좋았던 것 같아요.
Q. 상금은 어떻게 쓰실 예정이신가요?
예상 못 해서 계획이 없었는데… 사실 내년에 개인전을 준비 중이거든요. 대관료가 크니까 적금을 모으고 있었는데, 상금은 그대로 전시 자금에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시는 3~4월쯤 예정이고, 커머셜 작업 때문에 개인 작업할 시간이 부족해서 아직 구상 단계에 있어요.
Q. 돌잡이 때 금속활자를 잡았다는 게 사실인가요?
(웃음)아니요. 실제로 잡은 건 아니고, 자기소개용 표현이에요. 재작년 [내가 좋아하는 한 글] 전시할 때도 일부러 무거운 인상을 덜고 싶어서 썼었는데 생각보다 반응이 좋아서 계속 쓰고 있습니다.
Q. 작업 과정에서 느낀 점이 있다면?
이번 공모전은 한 글자를 선택하는 게 핵심이라, 어떤 음절을 고를지가 가장 힘들었어요. 조형적 의미와 모양, 기획 의도를 모두 고려해야 했으니까요. 그다음엔 기술적 고민이 많았죠. 베지에 곡선을 다루는 과정이 오래 걸렸습니다. 베지에가 잘 되는 날엔 술술 풀리는데, 안 되는 날엔 그냥 덮어두곤 했어요. 그래서 ‘놨다 풀었다’를 반복하다가, 마지막 정리는 하루 만에 후루룩 제출했습니다.
Q. 본인의 작품 외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출품작을 꼽는다면?
대상 수상작 ‘돛’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제가 생각하지 못한 획과 표현 방식이 보여서 부럽더라고요. 한 글자가 1도 벡터로 확 올라올 때 오는 그 강렬함이 특히 와닿았습니다.
Q. Q. 레터링에서 ‘한 글자’의 힘은 뭐라고 생각하세요?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공간 안에서 조합되어 동시에 정보와 이미지로 읽힙니다. 그런데 한 음절은 그 경계에 있어요. 그래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한 힘을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문장보다는 단어가, 단어보다는 한 음절이 정보성이 덜하고 그래픽적으로 인식될 여지가 크기 때문에 레터링의 매력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죠.
Q. 디자이너로서 나만이 할 수 있는 건 뭐라고 생각하세요?
예전엔 제너럴리스트가 되려고 했어요. 디자인, 영상, 3D, 코딩까지 다 해보려 했죠. 하지만 결국 사람들이 찾는 건 스페셜리스트라는 걸 느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아슬아슬하게 읽히는 지점’을 찾는 걸 제 강점으로 삼고 있어요. 브랜드나 방송과도 잘 붙으면서도, 단순히 예쁜 글자가 아니라 기획과 의도가 살아 있는 글자를 만들고 싶습니다.
Q.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참가자들에게 조언 한마디!
부끄럽지만… 개인 작업을 꼭 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상업 디자인은 의뢰가 있어야 움직이지만, 개인 작업은 본인의 표현을 마음껏 담아낼 수 있거든요. 저도 개인 작업으로 기회를 얻었고, 지금도 클라이언트들이 제 개인 작업을 보고 믿음을 줍니다. 수익이 안 되더라도 꾸준히 개인 작업을 해보면 언젠가 큰 기회로 연결될 거라 생각합니다.